김용무, 우리가 잘못 배우고 있는 수학, 교우사, 2007
1장. 우리를 슬프게 하는 수학
1.2. 국립학과
서양인들에게 있어서 과학은 생활의 일부이자 흥미거리인 동시에 토론거리다. 모이면 술이나 마시면서 잡담이나 음담패설, 정치인과 연예인 이야기를 주제삼거나 누군가를 헐뜯는 일에 시간을 소모한느 우리와는 달리, 그들은 모이면 토론하고 자신의 의견을 내놓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중략)
우리와 달리 서구 문물을 서양으로부터 직접 접할 수 있었던 중국과 일본은 철저하고 진지하게 서양의 과학 전통과 문화를 이해하고 있다. (중략) 이제 우리도 과학이나 수학을 이미 만들어진 지식으로 여겨 베껴 외우듯 습득하던 타성을 과감히 떨치쳐 내고, 서양 사회 깊숙히 흐르는 그들의 과학 정신, 즉 과학과 수학을 하는 방법과 자세를 깨치고 체득해야 하며 나아가 우리 스스로 수학과 과학을 일구어 가야 한다. 교육도 포장된 지식을 단순히 전달하는 데 머무르지 말고, 자연과 사물의 이치를 논리정연하게 살피고 바라볼 줄 아는 도량 넓은 인재를 길러내야 한다.
1.3. 엉뚱한 생각 많이 하십시오?
2002년 우리가 월드컵 4강을 자축하는 동안 일본은 우리의 환희에 아랑곳없이 또 다른 승리를 자축하고 있었다. 승리의 주이공은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시마즈제작소 직원 다나카 고이치였다. 같은 해에 도쿄대 명예교수 고시바 마사토시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지만, 무엇보다도 평범한 회사원이 노벨상을 받았다는 사실은 일본 전역을 월드컵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흥분하게 했다. (중략)
이처럼 일반 평사원이 노벨상을 받았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았던 때문인지, 국내 유명 대학과 연구소에 재직중인 과학 교수들이 텔레비전에 나와 토론을 벌이는 자리가 마련되었다. (중략) 짐작대로 방송이 끝날 때까지 토론은 뚜렷한 해결방안이나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중략) 그런데 나는 그 방송에서 무척이나 실망스러운 말을 들었다. 한 교수가 '엉뚱한 생각'을 많이 하는 학생을 길러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략)
필자가 이해하기로 그 말은 창의력이 뛰어난 사람을 많이 길러내야 한다는 뜻이 아닌가 싶다. 그러나 이는 오늘날 우리의 과학 교육이 안고 있는 문제를 깊이있게 이해하지 못한 채 수박 겉핥기 식으로 판단한 것이다. (중략) 오늘날 과학과 기술을 발전시키는 데 있어서 더 절실하고 중요한 것은 엉뚱한 생각이 아니라, 조리있게 논리정연한 사고를 펼 수 있는 능력, 다시 말해 과학인다운 사고를 제대로 해낼 수 있는 능력을 체득하는 것이다. 이것이 없이는 기발한 발상마저도 한낱 물거품에 지나지 않음을 깨달아야 한다. (중략)
알버트 아인슈타인이 중요하다고 말한 '상상'이란 철 없는 아이가 하는 엉뚱한 생각이 아니라, 알려져 있지 않은 가능성에 대한 과학자다운 탐구 과정을 말한다. 즉, 그가 말한 상상 뒤에는 서양의 철저한 합리성과 과학정신이 깔려 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수학+통계학 > 고등학교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 공부 계획 및 도서 정리(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심화) (0) | 2019.04.15 |
---|---|
고등학교 수학 오류 (3) 수학을 배우는 자세 (0) | 2016.07.27 |
고등학교 수학 오류 (1) 한국 수학의 위기 (0) | 2016.07.26 |